-
11
-
Glossary에 기초한 시스템에서의 적형태 영어문장 생성을 위한 한영 대역에 전자사전구축
-
신효필;
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14,
2003,
pp.1-13)
-
12
-
고등학생 영어 글쓰기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: 모국어의 역할을 중심으로
-
지현희;
김현옥;
아주대학교;
아주대학교;
(영어교육연구,
v.19,
2007,
pp.301-12)
-
13
-
한영 기계번역을 위한 고정표현 지식베이스 구축
-
이현호;
안동언;
정성종;
김재훈;
서영애;
김영길;
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한국해양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;
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공학연구부;
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공학연구부;
(한국정보과학회 - 봄 학술발표논문집(B) Proceedings of The 27th KISS Spring Conference,
v.2002,
2002,
pp.369-371)
-
14.
- 통역·번역에 유용한 표현
- 김광호
-
선문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, 국내석사,
47p., 2003
-
15.
- 근대기 중국 기원 신생한자어의 한국어 유입과 정착 : 로브샤이트의 『英華字典』을 중심으로
- 임려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p250, 2018
-
16
-
고전어와 근대어의 분기 그리고 불가능한 대화의 지점들 - 『조선문학사』(1922) 출현의 근대 학술사적 문맥, 다카하시·게일의 한국(어)문학론
-
이상현;
부산대학교;
(코기토,
v.73,
2013,
pp.56-113)
-
17
-
번역가의 왼손,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- 언어정리 사업으로 본 근대 한국(어문)학의 생성
-
황호덕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10,
pp.93-145)
-
18.
- 單一語辭典과 對譯辭典에 關한 比較 硏究 : 英美·英韓·英日辭典의 統辭的, 意味的, 編輯上 記述 特性을 中心으로
- 강신권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v, 211p., 1997
-
19.
- 한국어 조사 '의'의 영어 대응 양상 연구 : 한영 영한 병렬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
- 민선영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92 p., 2014
-
20
-
고전어와 근대어의 분기 그리고 불가능한 대화의 지점들 - 『조선문학사』(1922) 출현의 근대 학술사적 문맥, 다카하시·게일의 한국(어)문학론
-
이상현;
;
(코기토,
v.73,
2013,
pp.56-1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