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6건 중 186건 출력
, 2/19 페이지
-
11
-
초기 한국사학(韓國史學)의 오리엔탈리즘― 실증사학과 유물사학의 과학관과 민족사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―
-
박용희;
동국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05,
pp.35-54)
-
12
-
[한국사학회 역사 현안 토론회 녹취록] 한국적 공공역사의 가능성 탐색: 영역과 방법
-
장용경;
국사편찬위원회;
(사학연구,
v.0,
2024,
pp.257-292)
-
13
-
한우근 : 한국사학의 실증적 토대 확립
-
민현구;
고려대 한국사학과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107,
2000,
pp.61-65)
-
14
-
한국사학계에서 생활사의 가능성과 한계: 송기호 저 생활사 세 권에 대한 서평
-
김지영;
서울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2,
pp.391-407)
-
15
-
국내 한국사학계의 환경·기후 문제 연구 동향과 과제- 소빙기 학설의 활용을 중심으로 -
-
계승범;
서강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2,
pp.11-48)
-
16
-
출판저널 칼럼
-
이태진;
서울대 한국사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72,
1995,
pp.1-1)
-
17
-
이 책을 말한다-'노평구 전집' (전5권)
-
이기백;
한림대 한국사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17,
1997,
pp.5-5)
-
18
-
골품제에서 시작된 신라사회사에 대한 관심-'신라 골품제사회와 화랑도'에서 '신라사회사연구'까지
-
이기동;
동국대 한국사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30,
1998,
pp.24-25)
-
19
-
기록학과 쓰기
-
이영남;
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;
(기록학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,
v.71,
2022,
pp.169-236)
-
20
-
국가기록혁신과 기록담론
-
이영남;
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;
(기록학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,
v.56,
2018,
pp.49-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