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912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한국 판타지 동화 연구
-
류덕제;
신은주;
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08,
pp.57-90)
-
12
-
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유아과학교육 내용의 분석
-
김영선;
;
(한국영유아보육학 =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,
v.27,
2001,
pp.1-21)
-
13
-
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-<콩쥐팥쥐 이야기>를 중심으로-
-
오윤선;
한국교원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5,
pp.387-420)
-
14
-
한국어 역행동화와 순행동화에 대한 인지적 보상 -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
-
성은경,;
Lee soonae,;
Youngeun Kim,;
;
(언어학 : 한국언어학회 =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,
v.84,
2019,
pp.49-84)
-
15
-
영어와 한국어의 자음동화 현상
-
심순식;
;
(慶尙大學校論文集,
v.22,
1983,
pp.57-70)
-
16
-
한국 전래동화에서 보여지는 ‘숲’의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
-
장미연;
송주은;
임재택;
;
(어린이미디어연구 = Korean journal of children's media,
v.10,
2011,
pp.139-161)
-
17.
-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
- 한선아
-
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30p., 2003
-
18
-
전래동화 多讀 훈련이 한국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
-
함정현;
한서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0,
pp.157-178)
-
19
-
동화, 정복, 번역 - 한국 근대 소설 속 혼혈 결혼의 의미
-
김주리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2009,
2010,
pp.37-64)
-
20
-
Exploration of English Translations and Adaptions of Korean Folktales Published in the US (2000-2010)
-
윤은자;
Korea Army Academy at Yeong-Cheon;
(영어영문학 : 한국영어영문학회 =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59,
2013,
pp.889-9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