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하종오 시집 『제주 예멘』 연구
-
류찬열;
중앙대학교;
(다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20,
pp.237-258)
-
12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북자 형상 - 탈북자, 여성 그리고 분단 생태계
-
이상숙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255-288)
-
13
-
틈새review-미셀 우엘벡 장편소설 '플랫폼'
-
하종오;
한국일보 문화부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32,
2003,
pp.106-107)
-
14
-
하종오 시의 ‘트랜스담론’과 ‘민족공동권’ 소고
-
최종환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2,
pp.33-53)
-
15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분단의 상상력
-
윤혜옥;
조선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2,
pp.565-593)
-
16
-
하종오의 다문화 시에서 환대의 문제
-
임지연;
건국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0,
pp.213-244)
-
17
-
당위적 통일론과 위계의 일상: 김준태와 하종오의 통일시를 중심으로
-
이상숙,;
;
(현대 북한 연구 = North Korean studies review,
v.22,
2019,
pp.232-270)
-
18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이주민의 재현양상
-
허정;
동아대학교;
(동남어문논집,
v.1,
2011,
pp.77-126)
-
19
-
A Study on the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he Multicultural Age - Focusing on Migrant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shown in Ha Jong-o’s Poetry -
-
Kim, Jeong-Shin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84,
2019,
pp.183-210)
-
20
-
현대시에 나타난 상호문화 소통과 연대 : 하종오의 이주-시를 중심으로
-
문희진;
최현식;
호남대학교;
인하대학교;
(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,
v.14,
2025,
pp.407-4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