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현대 영상매체와 데몬 - 19세기 후반-20세기 초반 사진과 영화에 나타난 데몬적 형상
-
하선규;
;
(美學(미학),
v.0,
2009,
pp.153-210)
-
12
-
미감적 경험의 현상학적 재정의: 헤르만 슈미츠의 신체현상학과 미학이론에 대하여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23,
2006,
pp.275-315)
-
13
-
칸트 미학의 현대적 쟁점들 (I) ― ‘목적론과의 연관성’, ‘무관심성’, ‘숭고’의 문제를 중심으로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美學(미학),
v.0,
2011,
pp.159-204)
-
14
-
예술과 문화적 삶- 서구 미학사의 몇 가지 전환점에 관한 시론(試論)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美學(미학),
v.0,
2007,
pp.159-214)
-
15
-
영상의 현상학적 분석과 문화사적 전망-벨라 발라쉬(Béla Balázs)* 경주대학교 교수의 영화이론에 대하여
-
하선규;
경주대학교;
(美學(미학),
v.0,
2004,
pp.1-1)
-
16
-
사진 혹은 ‘탈-인간적 이미지’에 함축된 역사철학적 의미- 크라카우어(S. Kracauer)의 문화철학과 사진이론에 대하여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14,
pp.154-186)
-
17
-
키에르케고어 철학에 있어 심미적 실존과 예술의 의미에 관한 연구 ― 『이것이냐/저것이냐』, 『불안의 개념』, 『반복』, 『철학적 조각들』을 중심으로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美學(미학),
v.0,
2013,
pp.219-268)
-
18
-
의미있는 형식(구조)의 상호주관적 지평 -반성적 판단력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시론(試論) Ⅰ
-
하선규;
경주대학교;
(칸트연구,
v.0,
2004,
pp.169-204)
-
19
-
미감적 경험의 본질적 계기에 대한 분석-칸트미학의현재성에대한시론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美學(미학),
v.44,
2005,
pp.365-386)
-
20
-
‘합목적적 형식’에서 ‘살아있는 형태’로‒ 칸트 미학을 교정하고자 한 실러의 미학적 성취에 대하여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美學(미학),
v.0,
2014,
pp.345-3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