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,497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“특수교육(학)” 용어의 개념 재고 - 독일의 특수교육(학)사를 중심으로
-
김기흥;
;
(특수교육 = Special education research & practice,
v.3,
2004,
pp.25-45)
-
12
-
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
-
김병하;
;
(특수교육저널 : 이론과 실천,
v.12,
2011,
pp.351-368)
-
13
-
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특수교육 교사 이미지 연구 - 고학년 학생 중심으로
-
한경임;
송미승;
박철수;
;
(특수교육저널 : 이론과 실천,
v.10,
2009,
pp.301-322)
-
14
-
복잡성 이론(Complexity Theory)과 특수교육
-
권정민;
;
(특수교육 = Special education research & practice,
v.8,
2009,
pp.279-293)
-
15
-
특수교육의 철학적 방법과 과제 - 특수교육 지식인론의 제기
-
김병하;
;
(특수교육저널 : 이론과 실천,
v.3,
2002,
pp.135-145)
-
16
-
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스마트교육 환경 조성 및 특수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
-
김정수;
김석진;
국립특수교육원 기획연구과;
국립특수교육원 연수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8,
2018,
pp.415-424)
-
17.
- 特殊敎育敎師 養成制度
- 허종분
-
慶尙大學校, 국내석사,
iii,59장, 1992
-
18
-
『특수교육』논문 심사규정 외
-
편집부;
;
(특수교육 = Special education research & practice,
v.5,
2006,
pp.113-121)
-
19
-
『특수교육』논문 심사규정 외
-
편집부;
;
(특수교육 = Special education research & practice,
v.7,
2008,
pp.237-247)
-
20
-
코로나19 이후 장애학생 교육 격차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 현황과 요구
-
임장현;
전혜인;
건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;
건양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9,
2023,
pp.33-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