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2/11 페이지
-
11
-
문학능력을 고려한 탈북청소년 평가의 방향-상호문화주의 관점을 중심으로-
-
오영창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21,
pp.135-162)
-
12
-
탈북의 서사화와 문학적 저널리즘 -장진성과 지현아의 탈북 수기를 중심으로
-
배개화;
;
(구보학보,
v.0,
2017,
pp.231-261)
-
13
-
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 :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
-
김소륜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7,
pp.109-143)
-
14
-
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양상 연구 ― 이응준의 『국가의 사생활』과 강희진의 『유령』을 중심으로
-
고인환;
경희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12,
pp.141-169)
-
15
-
Uninvited Guests and Ventriloquists: North Korean Defectors’ Literature and the Discourse of Hatred
-
SEO, Serim;
;
(안과밖 : 영미문학연구,
v.52,
2022,
pp.189-213)
-
16
-
차이의 지정학과 사랑의 정동 - 탈북을 소재로 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
-
김화선;
배재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3,
2020,
pp.155-176)
-
17
-
North Korean Defectors’s Understanding Style About Sun and Moon & Literary Therapeutic Effect
-
Park, Jaiin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9,
2018,
pp.251-264)
-
18
-
탈북 문학에 표상된 지식인
-
서세림;
광운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18,
pp.235-262)
-
19
-
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
-
박덕규;
단국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14,
2015,
pp.89-113)
-
20
-
탈북 문학에 나타난 두만강 인식
-
서세림;
중앙대학교;
(용봉인문논총,
v.0,
2023,
pp.149-1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