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Streptomyces 속 균주가 생산한 항교고병 항생물질에 관한 연구 (제1보) 생산균주의 분리 및 선발
-
배무;
고영희;
탁선미;
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응용미생물연구실;
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응용미생물연구실;
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응용미생물연구실;
(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추계학술대회,
v.1978,
1978,
pp.205.2-205.2)
-
12
-
에곤 에르빈 키쉬의 르포르타주 문학 - 1920년대 독일 저널리즘 논쟁을 배경으로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13,
2005,
pp.181-206)
-
13
-
역사의식과 공간의 내러티브 - 페터 바이스의 『저항의 미학』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1,
2013,
pp.349-398)
-
14
-
포스트 트라우마 시대의 기억문화 - 그 쟁점과 함의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17,
2009,
pp.467-490)
-
15
-
사라진 자와 남겨진 자 - 「이민자들」을 통해 본 제발트 W.G. Sebald 의 애도의 시학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카프카 연구,
v.0,
2015,
pp.75-103)
-
16
-
대중매체와 대중적 작가 - 에리히 캐스트너와 그의 문학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4,
2003,
pp.169-191)
-
17
-
“Schweige und tanze!” - Hugo von Hofmannsthals Elektra: Eine Überwindung des literarischen Ästhetizismus?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0,
2009,
pp.256-275)
-
18
-
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- 그 경향과 전개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0,
2009,
pp.190-223)
-
19
-
‘친밀성’의 이상향인가? ‘친밀성’의 위기인가? - 유디트 헤르만 문학의 또 다른 독법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4,
2013,
pp.329-362)
-
20
-
구성주의 젠더이론과 해체의 미학
-
탁선미;
한양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15,
2007,
pp.109-1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