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해방 후 최익한의 사회주의 운동과 ‘변백장(辨白狀)’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7,
pp.131-170)
-
12
-
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·안재홍安在鴻·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
-
박홍식;
대구한의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10,
pp.45-93)
-
13
-
寒洲 李震相과 그 學派 硏究의 現況과 展望
-
李炯性;
;
(儒敎 思想 硏究,
v.39,
2010,
pp.5-59)
-
14
-
‘茶山’의 초상과 남․북한의 ‘實學’ 전유-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-
-
정종현;
인하대학교;
(서강인문논총,
v.0,
2015,
pp.311-357)
-
15
-
일제 강점기 신문을 통해 본 실학연구 동향
-
박홍식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4,
2008,
pp.217-237)
-
16
-
근대 신문 현상한시 考選者의 비평의식 - 崔益翰을 중심으로
-
한영규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55,
2012,
pp.307-336)
-
17
-
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-신문·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-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10,
pp.95-131)
-
18
-
寒洲 李震相과 그 學派 硏究의 現況과 展望
-
이형성;
전북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0,
pp.5-60)
-
19
-
남북한(南北韓)의 거울에 비친 실학(實學)과 다산(茶山)
-
김선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시대와 철학,
v.31,
2020,
pp.7-44)
-
20
-
일제 강점기 신문을 통해 본 실학연구 동향
-
박홍식;
대구한의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08,
pp.217-2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