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1950년대 지방 자치제와 농촌 지역 사회의 정치적 지배 집단 형성-경기도 3개군 관내 읍·면지역 사례 연구
-
최봉대;
;
(사회와역사,
v.54,
1998,
pp.165-203)
-
12
-
북한의 국가역량과 시장 활성화의 체제이행론적 의미
-
Choi, Bong-dae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26,
2014,
pp.161-195)
-
13
-
초기 상공회의소 활동을 통해 본 해방 후 자산가 집단의 정치 세력화 문제
-
최봉대;
;
(사회와역사,
v.45,
1995,
pp.104-157)
-
14
-
북한의 도시 연구 - 미시적 비교의 문제틀 모색과 방법적 보완 문제
-
Choi, Bongdae;
;
(현대 북한 연구 = North Korean studies review,
v.16,
2013,
pp.70-105)
-
15
-
1990년대 말 이후 북한 도시 사적 부문의 시장화와 도시가구의 경제적 계층분화 - 개별가구의 비공식적 연결망자원의 계층화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
-
최봉대;
;
(현대 북한 연구 = North Korean studies review,
v.11,
2008,
pp.7-41)
-
16
-
북한의 도시 ‘장마당’ 활성화의 동학 - 1990년대 신의주, 청진, 혜산을 중심으로
-
최봉대;
구갑우;
;
(현대 북한 연구 = North Korean studies review,
v.8,
2005,
pp.72-110)
-
17
-
북한 도시 "농민시장" 형성 과정의 이행론적 함의 - 1950~1980년대 신의주, 청진, 혜산의 사례를 중심으로
-
최봉대;
구갑우;
;
(현대 북한 연구 = North Korean studies review,
v.6,
2003,
pp.133-187)
-
18
-
북한의 도시연구: 미시적 비교의 문제틀과 방법적 보완의 모색
-
최봉대;
경남대학교;
(현대북한연구,
v.16,
2013,
pp.70-105)
-
19
-
은어ㆍ풍자어를 통해 본 북한체제의 탈정당화 문제
-
최봉대;
오유석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32,
1998,
pp.645-678, 707-708)
-
20.
- 雙位相空間에 關한 考察 : Notes on Bitopological Spaces
- 최봉대
-
慶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11 p., 197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