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17세기 전반 樓亭記 창작의 일양상 -申湜의 ‘用拙齋’에 붙인 記文을 중심으로-
-
안세현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8,
pp.193-227)
-
12
-
조선의 누정(樓亭) 문화에 대한 기호학적 이해
-
김학재;
퇴계학연구원;
(동방학,
v.0,
2024,
pp.65-89)
-
13
-
17세기 한성부 決訟立案을 통해 본 家垈訟 요인과 판결 이후 소유권 확보의 과정
-
권이선;
재단법인 전북발전연구원;
(법사학연구,
v.0,
2020,
pp.11-39)
-
14
-
宣祖 연간 文壇의 推移와 崔岦의 詩文
-
김우정;
단국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0,
2018,
pp.105-136)
-
15.
- 조선 중기 문인들의 회화관 연구
- 임희숙
-
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, 195 p., 2017
-
16.
- 崔립 散文 硏究
- 이성민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, 97p., 1999
-
17
-
조선 중기 복고적 산문의 두 경향
-
김우정;
단국대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6,
pp.399-428)
-
18.
- 西坰 柳根의 詩世界 硏究
- 조화이
-
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21 p., 2018
-
19
-
선조·광해 연간 회화감상과 비평에 나타난 차별성 연구
-
임희숙;
명지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24,
pp.307-335)
-
20.
- 駱坡 李慶胤(1545~1611) 山水人物畵 硏究
- 남연숙
-
고려대학교, 국내석사,
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