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한국미술사교육학회 제17회 전국학술대회 종합토론
-
홍선표;
조은정;
전선자;
김주삼;
김현숙;
최응천;
김규호;
조인수;
박은화;
최공호;
이송란;
김상엽;
안휘준;
문명대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20,
2006,
pp.396-413)
-
12
-
1950-70년대의 한국 공예: 형질의 해체와 조형화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20,
pp.7-28)
-
13.
- Robert Musil의「지빠귀 Die Amsel」硏究 : 모데르네(Moderne)의 자아(Das Ich)문제를 中心으로
- 최공호
-
成均館大學校, 국내석사,
[1], 101 p., 1996
-
14
-
高裕燮의 전통 인식 法身과 應身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美術史論壇,
v.0,
2013,
pp.177-193)
-
15
-
종합토론
-
안휘준;
박은순;
김홍남;
임영애;
문명대;
최공호;
강경숙;
김성우;
이강근;
김영나;
강태희;
정형민;
허영환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11,
1997,
pp.133-145)
-
16
-
'이왕직미술품제작소' 연구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고문화,
v.0,
1989,
pp.97-123)
-
17
-
[洪善杓 敎授 研究 30年 記念 콜로키움] 동아시아 미술의 근대와 근대성
-
최공호;
홍선표;
이와키 겐이치;
기노시타 나오유키;
사토 도신;
야마나시 에미코;
정옌;
조은정;
이인범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30,
2010,
pp.380-391)
-
18.
- 超高速 情報通信網 構築事業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
- 최공호
-
朝鮮大學校 政策大學院, 국내석사,
vii, xvii, 86p., 1998
-
19
-
사진 한 컷에 담긴 근대 공예사의 원풍경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8,
pp.66-89)
-
20
-
부여 출토 고대 평목공구의 기능과 명칭–탕(鐋) 추정 유물-
-
이운천;
최공호;
;
(무형유산,
v.0,
2017,
pp.187-2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