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A Study on the ‘Becoming-with’ of Human and Non-human in SF - Focusing on Cheon Seon-ran’s A Thousand Blue -
-
Kong, Ra-hyeon;
;
(현대문학이론연구 =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,
v.95,
2024,
pp.111-139)
-
12
-
휴머노이드를 통한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 ― 종을 넘어서는 공존의 탐색, 천선란과 김영하의 작품을중심으로
-
오혜진;
남서울대학교;
(어문론집,
v.101,
2025,
pp.305-329)
-
13
-
에코테크네 디스토피아와 생명 정치의 타자성 - 천선란의 『이끼숲』을 중심으로
-
오윤호;
이화여자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29,
2023,
pp.39-67)
-
14
-
SF Bildungsroman and Human-NonHuman Ensemble from a Technolog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 -Focusing on Cheon Seon-ran’s A Thousand Blue
-
Jin, sun young;
;
(현대소설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,
v.87,
2022,
pp.541-567)
-
15
-
기술철학적 관점에서 본 SF 성장소설과 인간-비인간의 앙상블 -천선란의 『천 개의 파랑』을 중심으로
-
진선영;
세종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2,
pp.541-567)
-
16
-
한국 SF 소설에서의 장애의 의미와 재현 양상 연구 : 천선란 소설을 중심으로
-
유창민;
동의대학교;
(장애의재해석,
v.5,
2024,
pp.105-128)
-
17
-
SF를 경유한 한국문학과 감수성의 변화 - 진정성의 주체에서 감각하는 존재로
-
연남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30,
2024,
pp.11-46)
-
18
-
한국 기후소설(cli-fi)의 시공간 도상성 연구 - 심리스 리얼리티에 대한 비판적 기능을 중심으로
-
박인성;
부산가톨릭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30,
2024,
pp.265-299)
-
19
-
초생명성(Epivitality) 시대를 위한 포스트휴먼 윤리 - 천선란 장편소설 『무너진 다리』를 중심으로 -
-
표유진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3,
pp.181-208)
-
20
-
초생명성(Epivitality) 시대를 위한 포스트휴먼 윤리 - 천선란 장편소설 『무너진 다리』를 중심으로 -
-
표유진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3,
pp.181-2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