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18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『호산청일기(護産廳日記)』를 통해 본 조선왕실출산(朝鮮王室出産)의 의학적처치(醫學的處置)와 의철학(醫哲學)에 대한 고찰(考察)
-
Ryu, Jeong-A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27,
2014,
pp.9-13)
-
12.
- 조선 정치철학의 합례주의 인성 담론 : 이제마의 사상철학과 '몸의 정치학'적 함의
- 정복철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66 p., 2002
-
13
-
Philosophical Aspects of Han-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
-
NakJin Kim,;
;
(韓國學論集,
v.40,
2010,
pp.169-202)
-
14
-
Understanding Early Joseon Confucianism in North Korean Philosophy History
-
KANG, KYUNG HYUN;
;
(人文學硏究 :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59,
2024,
pp.7-38)
-
15
-
[논쟁]조선 선배들의 사단칠정론은 소승 철학인가 대승 철학인가 - 한형조 교수의 서평에 부쳐
-
김기현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4,
2001,
pp.102-114)
-
16
-
중국조선족 학생들의 서양 철학수용과 그 문제점
-
강대석;
;
(철학논총,
v.31,
2003,
pp.3-18)
-
17
-
단군조선과 한국고유철학(1) - 상호존중(“서로주체성”)의 원리
-
박병섭;
;
(단군학연구,
v.20,
2009,
pp.89-141)
-
18.
- 朝鮮朝 儒敎經典의 行政哲學的 分析
- 김 정식
-
慶南大學校, 국내박사,
iv, 150 p., 1993
-
19
-
[동양 철학 다시 읽기]조선 성리학의 예 교육 심성 모델 개발
-
유권종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8,
2003,
pp.244-257)
-
20
-
북한 ‘조선철학’의 연구경향과 학문적 특성
-
전미영;
동국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08,
pp.439-4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