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4건 중 924건 출력
, 2/93 페이지
-
11
-
『조선의어유집(朝鮮醫語類集)』에 나타난 의학용어에 대해
-
송영빈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서인문학,
v.0,
2020,
pp.107-133)
-
12.
- 朝鮮後期 實學者의 醫學文獻 硏究
- 박상영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72 p., 2016
-
13
-
금원사대가의학(金元四大家醫學)이 조선조의학(朝鮮朝醫學) 형성(形成)에 미친 영향(影響)
-
정면;
홍원식;
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;
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;
(대한원전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and medical history,
v.9,
1996,
pp.432-552)
-
14
-
사상의학 : 19세기 조선과 이제마
-
김종열;
;
(기계저널 : 大韓機械學會誌,
v.39,
1999,
pp.72-73)
-
15
-
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Knowledge in 1930s Appeared in Chosun Ilbo “Gajung Euihak(Family Medicine)”
-
Choi, Eun Kyung;
;
(역사연구,
v.35,
2018,
pp.145-175)
-
16
-
'의학입문(醫學入門)'을 통해 본 조선 침구학의 특성
-
오준호;
김남일;
차웅석;
통일부 하나원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(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=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,
v.15,
2009,
pp.55-62)
-
17
-
'경악전서(景岳全書)'가 조선후기(朝鮮後期) 한국의학(韓國醫學)에 미친 영향(影響)에 대한 연구(硏究)
-
하기태;
김준기;
최달영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(大韓韓醫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,
v.20,
1999,
pp.12-26)
-
18
-
『의방류취(醫方類聚)』에 인용된 『보동비요(保童秘要)』와 조선전기(朝鮮前期) 소아의학(小兒醫學)
-
이가은;
안상우;
한국한의학연구원;
한국한의학연구원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19,
2006,
pp.3-18)
-
19
-
한국과학기술의 맥(49)-조선의 의학
-
박성래;
한국외국어대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23,
1990,
pp.44-46)
-
20
-
조선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
-
김정선;
황상익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의사학,
v.16,
2007,
pp.150-1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