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78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『조선왕조실록(朝鮮王朝實錄)』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
-
강현민;
신상섭;
김현욱;
마일초;
한서정;
(주)정신건설;
우석대학교 조경학과;
우석대학교 조경학과;
우석대학교 대학원;
우석대학교 대학원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36,
2018,
pp.39-49)
-
12
-
조선왕조실록상자의 재질분석과 보존처리
-
박수진;
정다운;
이용희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33,
2017,
pp.17-24)
-
13
-
The Research of Akso in Choson-wangjo-sillok
-
Son, Taeryong;
;
(연세 음악연구 = Yonsei music research,
v.8,
2001,
pp.129-154)
-
14
-
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1741년 쓰나미 영향 연구
-
변상신;
김경옥;
해군사관학교 해양학과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;
(한국해안·해양공학회논문집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,
v.33,
2021,
pp.30-37)
-
15
-
조선왕조실록 국역본 CD롬 출시
-
한동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80,
1995,
pp.11-11)
-
16
-
조선왕조실록에 보고된 채운(彩雲) 기록의 광학적 분석
-
김동현;
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;
(한국광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,
v.35,
2024,
pp.306-313)
-
17
-
‘Baekjeong’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: Focused on the Origin, Identity, and Assimilation Process
-
Lee, Jeon;
Lee, Howook;
;
(문화역사지리=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,
v.35,
2023,
pp.115-134)
-
18
-
≪조선왕조실록≫에 나타난 귀신 인식 유형
-
진, 수현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42,
2022,
pp.187-209)
-
19
-
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철릭 고찰
-
김명자;
이소영;
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전통복식전공;
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;
(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& Costume Design Association,
v.20,
2018,
pp.105-115)
-
20
-
『조선왕조실록』에 나타난 三韓 개념에 대한 고찰
-
이전;
경상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20,
pp.1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