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2/11 페이지
-
11
-
高仙芝와 고구려종이 ‘蠻紙’에 대한 검토
-
조법종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33,
2008,
pp.73-99)
-
12
-
후백제와 태봉관련 연구동향과 전망
-
조법종;
;
(新羅 文化,
v.27,
2006,
pp.187-203)
-
13
-
[신자료 소개] 중국 집안박물관 호태왕명문 방울
-
조법종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33,
2004,
pp.369-380)
-
14
-
後百濟 全州의 都城구성에 나타난 四靈체계-전주 거북바위의 성격을 중심으로-
-
조법종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29,
2003,
pp.191-217)
-
15
-
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단군 인식 검토 - 한국 고대 동물숭배전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-
-
조법종;
;
(단군학연구,
v.12,
2005,
pp.365-386)
-
16
-
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검토 - 동북공정 전후시기 연구를 중심으로
-
조법종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25,
2006,
pp.9-49)
-
17
-
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
-
조법종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1,
2011,
pp.45-73)
-
18
-
중국 요하문명론의 전개와 의미
-
Cho Bup-Jong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51,
2013,
pp.7-36)
-
19
-
한국 고중세 백두산신앙과 만주명칭의 기원
-
조법종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9,
2009,
pp.121-158)
-
20
-
고구려 사회의 檀君認識과 종교문화적 특징-蘇塗文化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-
-
조법종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21,
2001,
pp.173-2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