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7건 중 207건 출력
, 2/21 페이지
-
11
-
해방 후 한국불교론과 식민지 근대성의 연속: 조명기의 총화불교론과 전체주의
-
김영진;
동국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76,
2023,
pp.105-133)
-
12
-
일상적 장소성과 관계적 공간성의 두 변증법 - 『서울 , 어느 날 소설이 되다』와 『서울, 밤의 산책자들』을 중심으로
-
조명기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50,
2012,
pp.451-478)
-
13
-
손창섭의 「生活的」에 나타난 전후의식
-
조명기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7,
2005,
pp.667-688)
-
14
-
황홀한 아시아에 대한 두려움
-
조명기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2,
2012,
pp.237-246)
-
15
-
로컬에 대한 두 가지 질문 - 로컬은 실재하는 소수인가
-
조명기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4,
2014,
pp.267-277)
-
16
-
관광의 경로와 로컬리티 - 부산관광담론을 중심으로
-
문재원;
조명기;
;
(人文硏究,
v.58,
2010,
pp.825-860)
-
17
-
엄흥섭의 초기 지식인 소설 연구
-
조명기;
이재봉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2,
2006,
pp.401-426)
-
18
-
일제강점기 동반자작가의 지식인소설 연구 - 서사 전략적 측면에서
-
조명기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9,
2008,
pp.357-387)
-
19
-
「金講師와 T敎授」에 내재된 지식인의 욕망 연구
-
조명기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3,
2004,
pp.475-495)
-
20
-
로컬문학 연구와 관계성
-
조명기;
;
(로컬리티의 인문학 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1,
2011,
pp.6-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