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.
- 高麗 中期 東北界 範圍에 대한 考察
- 허인욱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2p., 2001
-
12
-
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및 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자기조절 전략개발(SRSD) 중재 문헌 분석
-
신재현;
정평강;
미네소타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학습장애연구,
v.14,
2017,
pp.75-98)
-
13
-
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인식 및 요구
-
이현주;
정평강;
전주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평생학습사회,
v.17,
2021,
pp.235-260)
-
14
-
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(IEP) 교육목표 작성 실태 및 질적 특성 분석
-
김현지;
정평강;
진주혜광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,
v.17,
2024,
pp.70-96)
-
15
-
일반학생, 읽기부진학생 및 지적장애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과 읽기 오류 유형 비교 분석
-
심예진;
정평강;
춘포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지적장애연구,
v.24,
2022,
pp.31-54)
-
16
-
수감각 놀이 기반 교수가 초등학교 1학년의 연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
-
정평강;
김중훈;
송푸름;
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박사후연구원;
인천운서초등학교;
인천용현초등학교;
(교육문화연구,
v.26,
2020,
pp.605-623)
-
17
-
자폐성 장애인의 사회적 기술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: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
-
김가영;
최하영;
정평강;
한밭고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특수교육연구,
v.28,
2021,
pp.254-293)
-
18
-
장애아동 대상 동화 활용 읽기 중재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: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
-
전은영;
박세은;
정평강;
옥봉초등학교;
울산혜인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특수교육연구,
v.29,
2022,
pp.163-198)
-
19
-
웹 기반 읽기유창성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
-
정평강;
김종훈;
김중훈;
한국교원대학교;
건국대학교;
좋은교사운동 배운찬찬이연구회;
(한국초등교육,
v.33,
2022,
pp.1-17)
-
20
-
슈퍼비전을 적용한 학교 밖 전문기관 연계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의 효과
-
정평강;
김중훈;
박세은;
한국교원대학교;
좋은교사운동 배움찬찬이연구회;
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교육과;
(교과교육학연구,
v.26,
2022,
pp.641-6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