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82건 중 782건 출력
, 2/79 페이지
-
11.
- 윤선도와 정철 시가의 문체시학적 연구
- 고정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96 p., 2001
-
12
-
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의식 대비연구
-
김용직;
;
(韓國文化,
v.13,
1992,
pp.131-160)
-
13
-
장르지식으로서 정철 <훈민가>의 진술방식 연구
-
오영창;
서울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5,
pp.283-314)
-
14
-
정철의 단가 “새원 원쥬ㅣ 되여”연작의 배경
-
김태환;
;
(한국학,
v.36,
2013,
pp.300-327)
-
15.
- 송강 정철의 시문학 연구
- 권용주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96 p., 1994
-
16
-
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의식 대비연구
-
김용직;
한국문학번역원;
(한국문화,
v.0,
1992,
pp.131-160)
-
17.
- 훈민시조를 통한 인성교육 방안연구 : 송강 정철의 <훈민가>를 중심으로
- 김찬희
-
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5
-
18
-
The Context of “Saewon Wonju Doeyeo” in a Short Lyric Series Written by Jeong Cheol
-
김태환;
;
(정신문화연구 = Korean studies quarterly,
v.36,
2013,
pp.301-329, 366-367)
-
19
-
법의 지배와 사법제도 - 정철, 『중국의 사법제도』, 경인문화사, 2009
-
정호경;
;
(法學論叢 : 國民大學校 法學硏究所,
v.22,
2009,
pp.281-311)
-
20.
- 조선 중기 유력 가문의 관직진출 비교분석 : -류성룡, 이산해, 정철의 영향을 중심으로-
- 이종훈
-
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03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