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63건 중 463건 출력
, 2/47 페이지
-
11
-
해방 직후 각 정파의 정부수립 구상과 그 특징:제2차 미소공위 답신안 분석을 중심으로
-
정병준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10,
1998,
pp.10-38)
-
12
-
『舊唐書』ㆍ『新唐書』 邢君牙, 劉全諒 列傅 譯註
-
정병준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67,
2013,
pp.363-383)
-
13
-
『唐會要』·『通典』·『新唐書』의 ‘節度使’ 기사 검토
-
정병준;
;
(中國古中世史硏究 = Historical studies of ancient and medieval China,
v.28,
2012,
pp.365-429)
-
14
-
당대 번진체제(藩鎭體制)를 보는 창(窓), 이정기 일가(一家)- 정병준, 『고구려 유민 이정기 일가의 번진사藩鎭史』 (동국대학교출판부, 2024) -
-
김강훈;
사동중학교 교사;
(고구려발해연구,
v.80,
2024,
pp.225-231)
-
15
-
『入唐求法巡禮行記』 역주(4) 〈838.09.01~10.19〉
-
이진선;
동국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8,
pp.575-612)
-
16
-
『입당구법순례행기』역주(2) 〈838.7.19~8.3〉
-
이유진;
숭실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7,
pp.529-560)
-
17
-
호주 기독학생운동의 발전과 한국선교, 1889~1942
-
정병준;
;
(한국기독교와 역사= Christianity and history in Korea,
v.2006,
2006,
pp.197-239)
-
18
-
국공내전ㆍ한국전쟁이 만든 만주조선인사회의 정체성 - 염인호, 『또 하나의 한국전쟁 : 만주 조선인의 ‘조국’과 전쟁』(역사비평사, 2010)
-
정병준;
;
(역사와 현실,
v.2011,
2011,
pp.362-372)
-
19
-
태평양전쟁기 이승만-중경임시정부의 관계와 연대 강화
-
정병준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7,
2007,
pp.295-335)
-
20
-
唐朝의 減軍政策과 張保皐의 歸國造成과 管理
-
정병준;
;
(慶州 史學 = Kyong-Ju Sa Hak,
v.24,
2006,
pp.483-48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