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『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』 편찬의 의의와 방향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1,
2011,
pp.7-16)
-
12
-
조선 후기 성(性)의 실상과 배경 -『기이재상담(紀伊齋常談)』을 중심으로
-
정병설;
;
(인문논총,
v.0,
2010,
pp.163-202)
-
13
-
영국도서관(British Library) 소장 경판한글소설 재론 -배접지를 통해 추론한 방각본의 간행 상황을 중심으로-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2,
pp.145-167)
-
14
-
러시아 상트베테르부르크 동방학연구소 소장 한국 고서의 몇몇 특징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3,
pp.145-166)
-
15
-
조선후기 한글 · 출판 성행의 매체사적 의미
-
정병설;
;
(진단학보,
v.0,
2008,
pp.145-164)
-
16
-
移葬 과정을 통해 본 「顯隆園誌」의 성격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20,
pp.114-135)
-
17
-
김정은 시대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현황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2,
pp.569-597)
-
18
-
한국 대학출판부 설립사 재론: 서울대학교출판부를 중심으로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9,
pp.255-273)
-
19
-
조선시대 차별과 적대의 이해를 위한 시론 ─『구운몽』을 중심으로─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50,
2017,
pp.51-72)
-
20
-
『혜빈궁일기』와 궁궐 여성 처소의 일상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7,
pp.91-1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