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조선민사령과 한국 근대 민사법
-
정긍식;
;
(동북아법연구,
v.11,
2017,
pp.97-128)
-
12
-
서평: 한국법사 체계 형성의 새로운 모색 : 沈羲基, 韓國法制史講義
-
정긍식;
;
(법사학연구,
v.0,
1997,
pp.199-207)
-
13
-
續大典의 위상에 대한 小考 ― ‘奉祀 및 立後’조를 대상으로 ―
-
정긍식;
;
(서울대학교 법학,
v.46,
2005,
pp.312-339)
-
14
-
法井寺 抗日運動에 대한 法的 考察
-
정긍식;
;
(법사학연구,
v.0,
2005,
pp.5-34)
-
15
-
조선 전기 ≪唐律疏議≫의 수용과 활용
-
정긍식;
서울대학교;
(법학논총,
v.33,
2021,
pp.455-497)
-
16
-
노트: <柳淵傳>에 나타난 相續과 그 葛藤
-
정긍식;
;
(법사학연구,
v.0,
2000,
pp.83-100)
-
17
-
≪受敎謄錄≫의 內容과 價値
-
정긍식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1,
pp.67-97)
-
18
-
조선후기 刑曹受敎와 입법경향
-
정긍식;
서울대학교;
(서울대학교 법학,
v.61,
2020,
pp.1-46)
-
19
-
≪朝鮮經國典≫과 朝鮮初期 法制整備
-
정긍식;
;
(서울대학교 법학,
v.56,
2015,
pp.85-116)
-
20
-
법서의 출판과 보급으로 본 조선사회의 법적 성격
-
정긍식;
;
(서울대학교 법학,
v.48,
2007,
pp.88-1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