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2/10 페이지
-
11
-
함부르크대학교 아시아-아프리카연구소 도서관 소장 한국 전적의 현황과 가치
-
장시광;
경상국립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37,
2022,
pp.279-322)
-
12
-
<윤하정삼문취록> 여성반동인물의 행위양상과그 서사적 기능
-
장시광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197-246)
-
13
-
<성현공숙렬기>에 나타난 부부 갈등의 성격과 여성 독자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07,
pp.7-38)
-
14
-
2007년도 고전소설 분야 연구 동향
-
장시광;
;
(국문학연구,
v.0,
2008,
pp.199-234)
-
15
-
‘호방’ 관련 단어와 대하소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개념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3,
pp.219-259)
-
16
-
대하소설의 여성과 법 -종통, 입후를 중심으로-
-
장시광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9,
pp.127-178)
-
17
-
고전 대하소설의 남녀 결연 관련 모티프 연구 — 늑혼 모티프를 중심으로 —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3,
2016,
pp.173-211)
-
18
-
조선 후기 대하소설과 士大夫家 여성 독자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7,
pp.147-176)
-
19
-
문헌설화의 강간 모티프 연구
-
장시광;
;
(온지논총,
v.0,
2015,
pp.317-362)
-
20
-
새 자료 <정향전>의 자료적 특성과 가치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0,
pp.211-2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