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3건 중 143건 출력
, 2/15 페이지
-
11
-
절대문은 세울 수 있는가-임홍빈(1983)을 중심으로-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형태론,
v.8,
2006,
pp.103-111)
-
12
-
‘사변적 정신’과 욕망의 문제
-
임홍빈;
;
(哲學,
v.93,
2007,
pp.133-158)
-
13
-
몰트만에게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
-
임홍빈;
;
(神學硏究 : Theological Studies,
v.46,
2004,
pp.155-186)
-
14
-
김상환, 오종환, 이기현, 이봉재, 이승종, 정호근, 그리고 뉴튼 가버? 著, 『매체의 철학』, 나남출판, 1998
-
임홍빈;
;
(哲學,
v.61,
1999,
pp.351-356)
-
15
-
중세어의 소망 평서문의 정체성 문제―임홍빈(2018)과 관련하여―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형태론,
v.22,
2020,
pp.71-76)
-
16
-
어순에 관한 언어 유형적 접근과 한국어의 기본 어순
-
임홍빈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2007,
2007,
pp.53-120)
-
17
-
주시경과 "한글" 명칭
-
임홍빈;
;
(韓國學論集,
v.23,
1996,
pp.21-41)
-
18
-
확대서평-프로이트의 '문명 속의 불만' '나의 이력서'
-
임홍빈;
고려대학교 철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10,
1997,
pp.19-19)
-
19
-
도덕적 합리성의 유형에 관해
-
임홍빈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7,
1993,
pp.391-415)
-
20
-
[밖에서 본 동양 철학]나는 과연 서양 철학자인가
-
임홍빈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6,
2002,
pp.288-30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