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민주화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부활과 지속적 발전 - 동원적 시민사회에서 제도적 시민사회로의 전환과 신유목적 시민사회의 출현
-
임혁백;
;
(Oughtopia :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,
v.24,
2009,
pp.137-169)
-
12
-
한국 자본주의의 성장, 위기, 개혁
-
임혁백;
;
(亞細亞 硏究,
v.41,
1998,
pp.147-186)
-
13
-
위기의 한국 사회와 한국 사회과학의 위기
-
임혁백;
;
(亞細亞 硏究,
v.52,
2009,
pp.110-129, 262)
-
14
-
[기획논문] 한국의 대통령제 거버넌스 모색: 제도와 운영방식을 중심으로
-
임혁백;
;
(亞細亞 硏究,
v.46,
2003,
pp.193-223)
-
15
-
자유주의적 성경읽기 - 백완기 저, 『성경과 민주주의: 삶의 양식으로서의 문화론적 접근』(서울: 예영, 1999),
-
임혁백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34,
2000,
pp.325-334)
-
16
-
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동북아 지역안보: 현황과 전망
-
임혁백;
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;
(국방연구,
v.47,
2004,
pp.3-27)
-
17
-
민주주의, 정치참여, 그리고 새로운 한국 사회 - 최장집, 『민중에서 시민으로: 한국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방법』(돌베개, 2009)박호성, 『공동체론: 화해와 통합의 사회·정치적 기초』(효형출판, 2009)임혁백, 『신유목적 민주주의: 세계화·IT혁명 시대의 세계와 한국』(나남, 2009)
-
윤상철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93,
2012,
pp.317-324)
-
18
-
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동북아 지역안보: 현황과 전망
-
임혁백;
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;
(국방연구,
v.47,
2004,
pp.3-27)
-
19
-
박정희에 대한 정치학적 평가: 리더십, 근대화, 유신, 그리고 몰락
-
임혁백;
고려대학교;
(평화연구,
v.20,
2012,
pp.51-84)
-
20
-
신유목사회의 출현과 정치참여의 변화- 일반적 참여양태와 국제적 비교
-
임혁백;
고려대학교;
(평화연구,
v.19,
2011,
pp.7-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