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49건 중 249건 출력
, 2/25 페이지
-
11
-
한국사회문화의 통합적 소통을 위한 제언 - KL과 KSL의 공존과 소통을 중심으로 -
-
윤석민;
전북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6,
pp.23-61)
-
12
-
부산지역 인문학 프로그램 현황 연구- 2018~2022년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
-
서민정;
박양리;
부산대학교;
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.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4,
2023,
pp.317-345)
-
13
-
고속정보시대 대학교육에서 교양은 무엇이어야 하는가
-
유초하;
충북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05,
pp.49-76)
-
14.
- 인문학동아리 구성원들의 활동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: 독서 동아리 '달팽이' 사례 중심으로
- 조창희
-
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5 p., 2018
-
15.
- 실천인문학으로서의 음악인문학 텍스트 모델 수립에 대한 연구
- 전선구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56, 2025
-
16.
- 중국 다큐멘터리사진에 관한 연구 : 사진가 뤼난(吕楠) 사진집<잊혀진 사람들>을 중심으로
- 손리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09 p., 2018
-
17
-
영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-
Shin, Myeong-Hee;
Kim, Kwang-Hwan;
Department of General English, Hannam University;
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, Konyang University;
(디지털정책연구 =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& management,
v.10,
2012,
pp.443-448)
-
18
-
‘인문학’의 의미론적 활용양태 분석 연구
-
김상원;
인하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7,
pp.317-335)
-
19.
- 인문학 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: 방과 후 학교의 성찰적 인문학 교육 사례 연구
- 김영욱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2 p., 2013
-
20
-
디지털인문학 중심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 융합 필요성 및 방안 연구
-
임수경;
김미나;
단국대학교 교양학부;
단국대학교;
(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=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,
v.54,
2016,
pp.338-3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