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4건 중 94건 출력
, 2/10 페이지
-
11
-
도함수 진단 분석 방법을 활용한 심부 균열암반 수리특성 도출 결과의 신뢰도 제고 방안
-
이항복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(터널과 지하공간: 한국암반공학회지 = Tunnel and underground space,
v.34,
2024,
pp.647-662)
-
12
-
장기 양수시험 자료 및 도함수 진단 분석을 활용한 심부 균열암반 현지 수리특성 평가 연구
-
이항복;
이철우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(터널과 지하공간: 한국암반공학회지 = Tunnel and underground space,
v.35,
2025,
pp.16-27)
-
13
-
국내 암종별 고심도 암반대수층 수리지질특성 연구
-
이항복;
박찬;
천대성;
최준형;
박의섭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층처분환경연구센터;
(터널과 지하공간: 한국암반공학회지 = Tunnel and underground space,
v.34,
2024,
pp.374-392)
-
14
-
6시그마 기법의 적용을 통한 대형 할인점 공사의 시공성과 향상
-
이승현;
이항복;
박찬식;
홍성호;
한국건설기술연구원;
삼성물산 건설부문;
중앙대학교 건축학부;
대한건설정책연구원;
(건설관리 :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=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,
v.8,
2007,
pp.185-193)
-
15
-
팩션으로 읽는 이항복의 일생 - 구활자본 「鰲城과 漢陰」을 통하여
-
차충환;
경희대학교;
(어문연구,
v.87,
2016,
pp.165-195)
-
16
-
이항복 소화(笑話)의 양상과 특수성 - 웃음 기제와 효과를 중심으로 -
-
류정월;
인천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9,
2016,
pp.81-110)
-
17
-
시조 「철령 높은 봉」의 치유적 기능
-
전양우;
한국문단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5,
2019,
pp.39-43)
-
18
-
임진왜란 당시 이항복의 활동에 대한 문학적 형상과 변모의 양상
-
이기대;
고려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5,
pp.153-181)
-
19
-
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과 연대추정
-
황진영;
국립중앙박물관;
(박물관보존과학,
v.23,
2020,
pp.49-60)
-
20
-
IPTV 기술현황 및 발전방향
-
김한수;
유승우;
이항복;
하나로텔레콤;
하나로텔레콤;
하나로텔레콤;
(電子工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,
v.35,
2008,
pp.47-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