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73건 중 673건 출력
, 2/68 페이지
-
11
-
이성애 중심 공간에서 조화로운 게잉과 게이의 성적 수행 공간으로: 종로구 '게이빈' 사례를 중심으로
-
Hamilton, Robert;
Department of Sociology, Seoul National University;
(한국지역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,
v.23,
2017,
pp.23-46)
-
12
-
에머슨 전통의 카메오, 햄릿 - 가부장제로 백인 / 남성 / 이성애 중심주의를 체현하는 액션 영웅
-
전준택;
;
(Shakespeare review,
v.40,
2004,
pp.953-975)
-
13
-
이성애 정상성을 탈신화화하기
-
이숙희;
신라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1,
2018,
pp.249-272)
-
14
-
이성애 결혼/가족 규범을 해체/(재)구성하는 동성애 친밀성 - 사회적 배제와 ‘독립적’ 삶의 모델 사이에서
-
김순남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9,
2013,
pp.85-125)
-
15.
- '성폭력' 피해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: 친밀한 이성애 관계에서 성(폭력) 경험에 대한 여성의 목소리를 중심으로
- 변혜정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191 p., 2004
-
16
-
Heterosexualizing queer codes in the translation of queer film posters.
-
Shin, Naan;
;
(통역과 번역=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,
v.20,
2018,
pp.21-48)
-
17
-
LGBT 한국어교육 학습자와 이성애규범성에 대한 인식
-
김유리;
연세대학교;
(한국어교육,
v.33,
2022,
pp.35-56)
-
18
-
성희롱-이성애제도-조직문화 그 연관성에 관한 고찰
-
이성은;
;
(한국여성학,
v.19,
2003,
pp.209-244)
-
19
-
집을 통한 이성애규범성의 시공간적 구성 - 출생률 관리 기제로서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을 사례로 -
-
정형은;
정현주;
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;
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,여성연구소;
(대한지리학회지,
v.59,
2024,
pp.431-446)
-
20.
- 온라인에서의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경험과 성소수자(LGB)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: 내면화된 이성애주의의 매개효과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
- 이나은
-
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, 국내석사,
vi, 57 p.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