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Jinje[眞諦]’s Interpretation on Five Types of Discriminations[Parikalpana] in Mahāyānasaṃgraha[攝大乘論]
-
박인성;
;
(韓國禪學 =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,
v.36,
2013,
pp.190-217)
-
12
-
李匡呂의 老子觀 - 「讀老子五則」을 중심으로 -
-
김학목;
강남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2,
pp.205-232)
-
13
-
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<너의 이름은. 군(君)の명(名)は.> :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
-
안윤경;
김현석;
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학과;
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50,
2018,
pp.75-99)
-
14
-
재일조선인 시인 종추월과 “쿠소리얼리즘” ──이름 없는/잃은 자들의 사각지대 리얼리즘
-
;
;
(사이間SAI,
v.0,
2023,
pp.137-168)
-
15
-
景物「?」の一考察 農作業?連歌を中心に
-
허명복;
세경대학;
(일본연구,
v.19,
2002,
pp.155-176)
-
16
-
類 개념에 대한 後期 墨家의 인식과 활용
-
이경무;
춘천교육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21,
pp.69-93)
-
17
-
제임스 롸이트의 「우리는 그 강에서 만나게 될 것이다」: 절망의 밑바닥으로부터의 반동
-
이옥남;
전남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44,
2002,
pp.515-541)
-
18.
- <東國與地勝覽>에 나타난 地名의 音節末 借字表記 硏究 : 섬 이름 變遷過程을 중심으로
- 김병순 (金炳淳)
-
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ii, 95 p., 199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