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0건 중 200건 출력
, 2/20 페이지
-
11
-
동해안 필사본 무가의 존재양상과 기능적 특성
-
윤동환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14,
2007,
pp.303-341)
-
12
-
무당의 이주와 무권역의 변화 - 동해안 사씨 무계를 중심으로
-
윤동환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9,
2009,
pp.275-298)
-
13
-
세습무의 학습 체계와 굿의 변화 - 동해안 굿을 중심으로
-
윤동환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2,
2000,
pp.133-158)
-
14
-
동해안굿의 전승주체와 문화 창출
-
윤동환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17,
2008,
pp.125-153)
-
15
-
어촌문화를 찾아서 - 동해안별신굿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;
(어항어장,
v.107,
2014,
pp.96-101)
-
16
-
강화도 가정신앙의 대상과 유형
-
윤동환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17,
2011,
pp.225-249)
-
17
-
무당굿놀이의 연행방식과 특징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공연문화연구,
v.38,
2019,
pp.193-224)
-
18
-
동해안 무집단의 당주권 확보과정과 적응전략
-
윤동환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16,
2008,
pp.263-288)
-
19
-
거리굿의 전형성과 특징
-
윤동환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53,
2011,
pp.75-99)
-
20
-
삼척 읍치성황제의 지속과 변화
-
윤동환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16,
2010,
pp.429-4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