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‘선전’의 인물화 연구와 ‘선전’과 ‘국전’으로 이어진 작가 및 작품의 분석
-
유희승;
동덕여자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2,
2013,
pp.77-126)
-
12
-
인터랙티브 웹툰 구성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: 텔레프레즌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;
(한국출판학연구,
v.50,
2024,
pp.29-56)
-
13
-
AI 휴먼 챗봇의 신뢰도 형성 과정 : 오피니언 리더와 일반 이용자의 스피치 역량과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의 직렬다중매개효과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;
(지식과 교양,
v.17,
2025,
pp.1083-1126)
-
14
-
대학생의 AI 챗봇 이용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;
(주관성 연구,
v.0,
2023,
pp.73-94)
-
15
-
AI 시대 출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: ChatGPT를 활용한 대학생의 도서 탐구 경험을 중심으로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출판학연구,
v.49,
2023,
pp.33-58)
-
16
-
연사의 유형이 연사 신뢰도와 스피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: 청중의 설득지식과 스피치 품질지각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;
(한국소통학보,
v., 23,
2024,
pp.349-383)
-
17
-
강의 유형(오프라인 vs. 온라인)에 따른 수강생 몰입: 지각된 매체 풍부성과 사회적 실재감의 직렬다중매개효과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;
(교육정보미디어연구,
v.31,
2025,
pp.445-471)
-
18
-
스피치와 토론 교과목에 대한 수강생의 인식과 선호 교육 방안
-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;
(주관성 연구,
v.0,
2024,
pp.93-112)
-
19
-
메타버스 아바타의 스피치 음성 유형과 소구 유형이 아바타 공신력에 미치는 영향: 인지된 의인화와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중심으로
-
박지현;
유희승;
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,
v.25,
2025,
pp.159-175)
-
20
-
경제활동인구의 돈에 대한 태도와 소비행동 유형
-
황준선;
유희승;
㈜데이타몬드 매니저;
성균관대학교;
(주관성 연구,
v.0,
2023,
pp.5-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