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8건 중 268건 출력
, 2/27 페이지
-
11
-
公職社會의 不正腐敗와 無事安逸에 관한 實證的 硏究 - 大邱地域 市民과 公務員의 認識比較
-
문인수;
이종렬;
;
(地方 自治 硏究,
v.8,
1996,
pp.87-102)
-
12
-
공무원의 집단자아존중 척도 구성 및 집단자아존중감과 무사안일 행태와의 관계
-
이창신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조직학회보,
v.1,
2004,
pp.1-24)
-
13.
- 日本武道의 形成過程과 特徵에 關한 硏究
- 최종균
-
용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, 6, 193p., 2002
-
14
-
(書評)戸田芳實著「「国衙軍制の形成過程―武士発生史再検討の一視点―」(日本史研究会史料研究部会編『中世の権力と民衆』〔一九七〇年六月、創元社刊〕所収)」
-
;
;
(法制史硏究,
v.1972,
1973,
pp.189-190)
-
15.
- 모리 오가이(森鷗外)의 역사소설 연구 : 무사도의 근대적 변용양상을 중심으로
- 강원주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30 p., 2013
-
16.
- 현대 일본사회와 무사도 연구 : 애니메이션 <은혼>을 중심으로
- 이송은
-
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5 p., 2014
-
17
-
대만 샤머니즘 연구의 흐름과 동향
-
상기숙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22,
2011,
pp.7-37)
-
18
-
모리 오가이(森鷗外)의 『덴포이야기(天保物語)』 소론 1
-
강원주;
고려대학교;
(일본어문학,
v.0,
2011,
pp.99-114)
-
19
-
「武士道」 뒤집어 보기 (其二)
-
정장식;
청주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9,
pp.435-453)
-
20
-
일본무사의 등장과 토지제도의 변용 -장원(莊園)과 고쿠가료(國衙領)를 중심으로-
-
감영희;
동명대학교;
(한일군사문화연구,
v.14,
2012,
pp.141-1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