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광복 50년의 문학: 동시대(同時代) 문학(文學)의 정신적(精神的) 지향(指向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115,
1995,
pp.479-488)
-
12
-
소설구조(小說構造)의 기호학적(記號學的) 특성고(特性攷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93,
1985,
pp.297-327)
-
13
-
리얼리즘 소설(小說)의 문학교육적(文學敎育的) 해석(解釋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112,
1994,
pp.399-432)
-
14
-
知識情報化時代의 讀書 - 독서의 政治學을 위한 覺書
-
우한용;
;
(독서연구,
v.5,
2000,
pp.1-24)
-
15
-
김중신 저 <소설감상 방법론 연구>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114,
1995,
pp.515-521)
-
16
-
문학교육과 문학에 대한 관점의 전환
-
우한용;
;
(국어교육연구,
v.40,
2007,
pp.137-160)
-
17
-
"현길언(玄吉彦) 저(著), 현진건(玄鎭健) 소설(小說) 연구(硏究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101,
1989,
pp.349-350)
-
18
-
한국(韓國) 심리소설(心理小說)의 한 국면(局面) -허윤석(許允碩)의 <구관조(九官鳥)>-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99,
1988,
pp.191-198)
-
19
-
소설언어(小說言語)의 연구방법론고(硏究方法論考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87,
1982,
pp.121-149)
-
20
-
"김정자(金亭子) 저(著), 한국근대소설(韓國近代小說)의 문체론적(文體論的) 연구(硏究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94,
1985,
pp.313-3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