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유아들의 비형식적 수학과 형식적 수학의 만남: 소집단 프로젝트 과정의 수학적 의미 구성 사례 분석
-
오문자;
숙명여자대학교;
(생태유아교육연구,
v.10,
2011,
pp.119-146)
-
12
-
집단 즉흥공연으로서의 가상놀이: 만 4세 남아들의 놀이틀 협상과정 분석
-
오문자;
숙명여자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31,
2011,
pp.255-284)
-
13
-
어린이들이 시쓰기에 부여하는 의미: 의사소통의 관점에서
-
오문자;
이유나;
KCCT;
아모레 퍼시픽 서울 어린이집;
(유아교육연구,
v.29,
2009,
pp.279-303)
-
14
-
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
-
오문자;
서윤희;
KCCT;
숙명여자대학교;
(미술교육논총,
v.23,
2009,
pp.211-240)
-
15
-
협력적 탐문으로서의 어린이들의 대화
-
김희연;
오문자;
세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교육학연구,
v.42,
2004,
pp.223-256)
-
16
-
공동체 문화 형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만 3세 유아들의 적응 과정
-
오문자;
이방실;
이유나;
숙명여자대학교;
경원대학교;
하늘어린이집;
(유아교육학논집,
v.16,
2012,
pp.449-472)
-
17
-
기록작업을 매개로 한 부모참여에 관한 실행연구: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며
-
정선아;
김희연;
오문자;
숙명여자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Kirean Center for Children and Teachers;
(유아교육연구,
v.26,
2005,
pp.221-254)
-
18
-
A critical review o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: A proposal for setting directions of nation-level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ion
-
Heeyeon Kim,;
오문자,;
Chung Shunah,;
;
(敎育課程硏究 =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,
v.29,
2011,
pp.69-98)
-
19.
- 초등학교 1~2학년 방과 후 무용수업을 통한 즉흥무용이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
- 김송은
-
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ⅷ, 81 p., 2009
-
20.
- 한·중 초등무용 교육의 교육과정 비교연구 :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
- 왕위쥐안
-
원광대학교, 국내박사,
xi, 147장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