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지각 훈련을 통한 한국어 폐쇄음 음향 신호 가중치의 L2 학습
-
오은진;
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말소리와 음성과학 =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,
v.13,
2021,
pp.9-21)
-
12
-
Building a Sentential Model for Automatic Prosody Evaluation
-
Yoon, Kyu-Chul;
영남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말소리와 음성과학 =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,
v.1,
2009,
pp.47-59)
-
13
-
Prosodically-driven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: A review
-
조태홍;
Division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Hanyang University, Seoul, Korea;
(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,
v.2005,
2005,
pp.249-253)
-
14
-
동사 ‘break’와 ‘깨다’의 어휘 의미지도
-
정희란;
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20,
2019,
pp.285-310)
-
15
-
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<a> 인지와 발화
-
초미희;
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4,
2014,
pp.527-534)
-
16
-
한국 학습자들의 미국 영어 모음 발화에 대한 자질적 접근
-
정순용;
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22,
2022,
pp.326-336)
-
17
-
영어 등위구조의 중의성 연구
-
박찬규;
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부;
(영어어문교육 =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 teaching,
v.9,
2004,
pp.173-192)
-
18
-
수행인문학의 생성과 글로컬 인재의 양성을 위하여-한양대 인문학 특성화 프로그램
-
김성제;
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137,
2005,
pp.54-59)
-
19
-
Illustrative Mechanism and Fantastic Organism in Postmodern American Science Fiction
-
Kim, Il-Gu;
한남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부;
(영어어문교육 =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 teaching,
v.11,
2005,
pp.25-38)
-
20
-
짝 구성 유형이 영어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
-
장용선;
삼육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6,
2016,
pp.332-3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