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자료소개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과 분류
-
염정섭;
;
(역사와 현실,
v.24,
1997,
pp.220-263)
-
12
-
‘영남농법’과 ‘한국형 지역개발’의 연구방법론 모색
-
Yeom, Jeong-Sup;
;
(歷史 學報,
v.183,
2013,
pp.343-368)
-
13
-
『山家要錄』 農書 부문의 편찬과정과 서술방식
-
염정섭;
;
(지역과 역사 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1,
2011,
pp.69-108)
-
14
-
조선후기 대동강 하류 河中島의 개간과 宮房田의 성립 및 변천
-
염정섭;
;
(奎章閣,
v.37,
2010,
pp.101-130)
-
15
-
18세기 초중반 『山林經濟』와 『增補山林經濟』의 편찬 의의 - 「治農」을 중심으로
-
염정섭;
;
(奎章閣,
v.25,
2002,
pp.177-200)
-
16
-
18세기 말 우하영의 『千一錄』 편찬과 農法 정리
-
염정섭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0,
2010,
pp.81-103)
-
17
-
조선 후기 고구마의 도입과 재배법의 정리 과정
-
염정섭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6,
2006,
pp.111-147)
-
18
-
[특집Ⅱ] 숙종대 후반 양전론의 추이와 경자양전의 성격
-
염정섭;
;
(역사와 현실,
v.36,
2000,
pp.140-175)
-
19
-
[서평]조선시대 양반가 농업경영에 대한 풍성한 볼거리와 다채로운 해석 - 『조선기대 양반가의 농업경영』(김건태, 역사비평사, 2004) -
-
염정섭;
;
(역사와 현실,
v.56,
2005,
pp.335-351)
-
20
-
조선후기 內的 發展과정 연구와 중세사회 解體論의 동거 - 《朝鮮後期農業史硏究[Ⅰ]-農村經濟・社會變動-》, 《朝鮮後期農業史硏究[Ⅱ]-農業變動ㆍ農學思潮-》
-
염정섭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9,
2009,
pp.307-3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