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군사혁신 : 군사지능화와 군민융합(CMI) 강화를 중심으로
-
차정미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(국가안보와 전략,
v.20,
2020,
pp.41-78)
-
12
-
평양 청년세대 ’이중‘ 의식구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
이시효;
김명희;
김성배;
숭실평화통일연구원;
연세대학교;
숭실대학교;
(북한연구학회보,
v.26,
2022,
pp.113-145)
-
13
-
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‘국가’의 특성과 번영 가능성: 인민반 사례
-
조진수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(문화와 정치,
v.12,
2025,
pp.61-99)
-
14
-
미국 의회의 북한 관련 입법 활동 분석 : 법안 발의의원과 발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
-
구본상;
최준영;
김준석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인하대학교;
동국대학교;
(국가안보와 전략,
v.17,
2017,
pp.1-41)
-
15
-
신흥 위협과 국가 역할 변화 : 미-중 전략경쟁 맥락에서 데이터안보와 공급망안보의 교차 위협과 미국 정부의 대응
-
유인태;
이주원;
임희수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(한국과 세계,
v.7,
2025,
pp.999-1027)
-
16
-
China’s Policy on Forcibly Repatriating North Korean Defectors - China's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Analysis through Comparison between Cases in China and Thailand -
-
전수미;
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(중국법연구,
v.26,
2016,
pp.291-312)
-
17
-
북한급변사태에 관한 이론적 논의 : 선제공격론과 인도주의적 개입을 중심으로
-
허재영;
송경호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연세대학교;
(현대북한연구,
v.19,
2016,
pp.37-82)
-
18
-
김정은 정권의 핵개발 동기와 지속 요인: Scott D. Sagan의 핵개발 동기 모델의 확장
-
부승찬;
박경진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연세대학교;
(국가안보와 전략,
v.18,
2018,
pp.79-110)
-
19
-
코로나19와 한국 민족주의의 분화: ‘국뽕’ 유튜브의 사례를 중심으로
-
장휘;
송경호;
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;
연세대학교;
(시민과 세계,
v.0,
2021,
pp.89-128)
-
20
-
대북정책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
-
이은국;
김경희;
연세대학교;
통일연구원;
(사회과학논집,
v.34,
2004,
pp.1-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