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한말ㆍ일제초기 미신론 연구 -‘미혹(迷惑)된 믿음’이라는 문화적 낙인의 정치학
-
안승택;
이시준;
서울대학교;
숭실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4,
pp.295-337)
-
12.
- 식민지 조선의 근대농법과 재래농법 : 경기남부 논밭병행영농의 환경, 기술, 역사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
- 안승택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492 p., 2007
-
13.
- 주시점의 방향이 다양한 위치에서 제시되는 시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
- 안승택
-
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0장, 2001
-
14.
- 양수리에서의 지역의 시공간적 구성 : 기술의 도입과 문화적 전유에 대한 역사인류학적 접근
- 안승택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62p., 1998
-
15
-
1970-80년대 농촌사회의 금전거래와 신용체계의 변화: 『창평일기』를 중심으로
-
이성호;
안승택;
전북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22,
2016,
pp.5-51)
-
16
-
개발독재기 농민의 경제적 생존전략 다시 보기: 자본주의-소농사회 접합의 일단(一端)
-
안승택;
이성호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6,
pp.89-128)
-
17
-
양측성 상지훈련이 편마비아동의 환측상지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
-
김미현;
박상범;
안승택;
인제대학교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한국특수체육학회지,
v.11,
2003,
pp.65-80)
-
18
-
한 현대농촌일기에 나타난 촌락사회의 계(契) 형성과 공동체 원리
-
안승택;
서울대학교;
(농촌사회,
v.24,
2014,
pp.7-44)
-
19
-
『한국의 농업세시』(정승모 지음, 서울: 일조각, 2012년)
-
안승택;
전북대학교;
(한국문화인류학,
v.46,
2013,
pp.131-140)
-
20
-
식민지 조선의 소주밀식(小株密植) 정책과 농민의 소식(疎植) 관행 - 역사생태의 지평에서 본 농업기술의 비교문화론
-
안승택;
전남대학교- 쌀·삶·문명연구원 HK연구교수;
(농업사연구,
v.7,
2008,
pp.111-1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