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심대윤 公利論의 특징과 시대적 의미
-
백민정;
성균관대학교;
(퇴계학보,
v.0,
2013,
pp.217-258)
-
12
-
A Study on the Ethical Theory of Baek-Woon Shim Dae-yoon-The Pursuit of Morality for Happiness and Benefit-
-
Kim, Eun-Young;
;
(韓國思想史學 = The study of Korean history of thoughts,
v.77,
2024,
pp.31-64)
-
13
-
심대윤(沈大允) {춘추사전속전(春秋四傳續傳)}의 탈성리학적 {춘추} 이해
-
김동민;
한밭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17,
pp.69-106)
-
14.
- 沈大允의 書經蔡傳辨正에 대한 연구 : 大同의 實德ㆍ實用主義的 內聖ㆍ外王論과 福善ㆍ禍淫論을 中心으로
- 장병한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55 p., 2014
-
15
-
19세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 -정약용, 심대윤, 이진상을 중심으로-
-
전성건;
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6,
pp.87-116)
-
16
-
유교 지식인의 公 관념과 公共 의식 : 이익, 정약용, 심대윤의 경우를 중심으로
-
백민정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2,
pp.1-45)
-
17.
- 白雲 沈大允 詩經學 硏究
- 김정은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8 p., 2007
-
18
-
백운 심대윤의 학자적 자의식과 경전해석의 일 국면-『백운집』과 『논어』 해석의 자료를 중심으로
-
함영대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5,
pp.185-220)
-
19
-
백운 심대윤(白雲 沈大允)의 독역십법(讀易十法)에 관한 연구 - 효위법(爻位法)을 중심으로 -
-
최정준;
오동하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6,
pp.303-333)
-
20
-
신체유물론적 시각에서 본 심대윤의 ‘노동 옹호 윤리학’
-
김대중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0,
pp.253-30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