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오이디푸스적 젠더 이해와 신화적 글쓰기 -헤르만 브로흐와 그의 소설문학을 중심으로-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여성학연구,
v.21,
2011,
pp.205-232)
-
12
-
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젝트로서의 여행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6,
pp.267-282)
-
13
-
W. A. 미트구취의 문학을 통해 본 타자성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9,
pp.197-216)
-
14
-
여행문학텍스트로서 카프카의 여행일기 -시각적 지각방식과 문학적 의미화를 중심으로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2,
pp.151-172)
-
15
-
전쟁문학의 고전적 가치와 미학적 기능으로 본 에른스트 윙어의 『강철의 폭풍 속에서』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3,
pp.107-124)
-
16
-
작가의 여행과 글쓰기 - 루 안드레아스 - 살로메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러시아 여행 (1900)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6,
pp.205-230)
-
17
-
20세기 초반 독일과 프랑스 간의 문화교류- 여행자 교류와 여행산문을 중심으로 -
-
신혜양;
;
(헤세연구,
v.0,
2013,
pp.225-242)
-
18
-
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서 독일문화 교육방안 - PBL 및 UBL 학습법과 창의적 학습결과물 제작 -
-
신혜양;
;
(헤세연구,
v.0,
2012,
pp.291-311)
-
19
-
문화 정체성의 이해와 수용 -독어독문학 수업에서 문화교육 강화를 위한 고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8,
pp.259-276)
-
20
-
1990년대 독일 신세대 문학과 베를린 - 유디트 헤르만의 소설문학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9,
pp.213-2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