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Sin Sukju’s literary works in the view of art-history
-
Kho, Youenhee;
;
(溫知論叢,
v.54,
2018,
pp.379-417)
-
12
-
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- 『海東諸國紀』와 『和國志』의 同異点 분석
-
손승철;
;
(인문과학연구 :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= Studies in humanities,
v.30,
2011,
pp.185-220)
-
13
-
언문청과 창제시기와 정음청의 위치
-
이근우;
부경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7,
2016,
pp.349-374)
-
14
-
『海東諸國紀』지명에 반영된 한일 중세어 표기법
-
심보경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27,
2007,
pp.83-101)
-
15
-
조선 초기 勳戚 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
-
강제훈;
;
(歷史와實學 = The Journal of History and Korean Practical Thought Studies,
v.43,
2010,
pp.5-43)
-
16
-
조선초기 문신 姜希孟의 관직생활
-
강제훈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9,
2008,
pp.3-38)
-
17
-
조선초기 국제정세와 국방정책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군사연구,
v.0,
2018,
pp.85-118)
-
18
-
송와잡설(松窩雜說)의 서사적 재현과 이기(李墍)의 의식시계
-
Lee, Kang-ok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20,
2013,
pp.141-176)
-
19
-
전근대 ‘환한국해’ 권역에서 한반도 중심의 해상 네트워크
-
Kim Bo-han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45,
2013,
pp.43-70)
-
20
-
仁齋 姜希顔의 繪畫와 이에 대한 朝鮮初期 文人들의 題畵詩
-
윤호진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63-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