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조선과 다른 고려의 읍치를 말하다-최종석, 『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』, 신구문화사, 2014-
-
박성현;
계명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5,
pp.355-370)
-
12
-
고려의 국정운영과 국왕권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― ??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??(박재우, 신구문화사, 2005) ―
-
이정훈;
연세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6,
pp.313-324)
-
13
-
역사적 관점에서 풀어낸 고려와 조선의 국도풍수론-장지연, 『고려·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』(신구문화사, 2015)-
-
김기덕;
건국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6,
pp.323-331)
-
14
-
1960년대 일본번역문학의 수용과 전집의 발간-신구문화사 ⟨일본전후문제작품집⟩을 중심으로
-
이종호;
동국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21,
2015,
pp.7-38)
-
15
-
전후 신진시인들의 ‘세계’ 인식과 ‘시’의 이념 - 『세계전후문제시집』(신구문화사, 1962)을 중심으로
-
김양희;
한양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6,
pp.187-224)
-
16
-
한국 중세인들의 풍수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 - 장지연, 『고려 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』(신구문화사, 2015)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6,
pp.345-360)
-
17
-
1960년대 <세계전후문학전집>의 발간과 전위적 독서주체의 기획
-
이종호;
동국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6,
pp.77-102)
-
18
-
김수영의 ‘번역’과 시(론) 변화의 상관성
-
고봉준;
경희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1,
pp.9-38)
-
19
-
1960년대 세계문학의 몽타주 그리고 리얼리티 - <세계전후문학전집>을 중심으로
-
박숙자;
서강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9,
2015,
pp.279-309)
-
20
-
첫책 '비순수의 선언'이 나왔을 무렵
-
유종호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83,
1991,
pp.23-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