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《?浪????辨》二
-
안희진;
단국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04,
pp.87-104)
-
12.
- Die Poetik Celans in der Sammlung 'Die Niemandsrose'
- Ahn, Cheol-Taek
-
Deimling, 국외박사,
195 p., 1998
-
13
-
당대 동물시 유형 연구
-
서성;
열린사이버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12,
pp.19-45)
-
14.
- Gary Snyder의 시에 나타난 침묵의 언어와 禪
- 이지선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1p., 2001
-
15
-
이승훈 '비대상' 시론 연구
-
신동옥;
한양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1,
pp.9-42)
-
16
-
朝鮮宣祖時期唐詩接受特徵論
-
張景昆;
중국 산서대학山西大學;
(연민학지,
v.41,
2024,
pp.61-87)
-
17
-
작가-푸슈킨과 화가-푸슈킨의 대화
-
심지은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9,
2010,
pp.183-214)
-
18.
- 이성복의 초기 시에 나타난 이콘의 변용 양상 연구
- 김수현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113 p., 2013
-
19.
- 최승호 시의 생명의식 연구
- 류창희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22 p., 2016
-
20
-
카오스모스 시학과 김지하 담시의 구조형성방식 - 「蜚語」와 「똥바다」를 중심으로
-
김란희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45,
2009,
pp.141-1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