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영화적 경험양식으로서 한국 시네필에 대한 연구 -50년대에서 70년대까지를 중심으로-
-
문재철;
중앙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11,
pp.113-138)
-
12
-
1950년대 『카이에 뒤 시네마』의 시네필-평론가 연구: 영화문화와 영화정책의 상관관계에 관하여
-
노철환;
인하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69,
2019,
pp.69-91)
-
13
-
1980년대 부산의 관람 공간: 소극장 시대와 시네마테크의 출현
-
박은지;
부산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1,
2018,
pp.211-247)
-
14.
- 2000년 이후 한국영화에서 도착성의 재현에 관한 연구
- 나지현
-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05 p., 2008
-
15
-
영화(KINO)의 시대 -영화잡지 <키노>와 1990년대 ‘비판적 시네필리아’의 문화정치
-
이선주;
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3,
2017,
pp.415-452)
-
16.
- 지역독립영화의 가능성과 한계 : 전북독립영화협회를 중심으로
- 임연주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0 p., 2015
-
17
-
한국 여성 독립영화 팬덤문화 연구: ‘벌새단’과 ‘메기떼’를 중심으로
-
최우정;
연세대학교;
(인문콘텐츠,
v.0,
2025,
pp.353-376)
-
18
-
1980년대 한국/영화를 다시 읽기―정성일·이효인·정종화·허남웅·김영진·김혜선·유운성·공영민·이수연, 한국영상자료원 엮음, 『1980년대 한국영화: ‘서울의 봄’부터 코리안 뉴웨이브까지』(앨피, 2023)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4,
pp.227-239)
-
19
-
타자 영화를 향한 시네필리아와 <다른 나라에서>
-
박은지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9,
2017,
pp.177-208)
-
20.
- 열정과 불안 : 1960년대 한국영화의 모더니즘과 모더니티
- 이선주
-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국내박사,
158 p.,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