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발해 상경성 내 제1절터의 건축적 성격
-
김왕직;
명지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45-73)
-
12.
- 조선후기 김해 士族의 四忠臣 추숭활동
- 송춘복
-
인제대학교, 국내석사,
90p., 2023
-
13
-
高麗使節에 대한 北宋政府의 禮遇 - 神宗代 高麗使節의 使行旅程과 關聯하여 -
-
김영제;
단국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3,
pp.81-110)
-
14
-
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‧부여‧고구려‧발해 인식 -『송막연운록』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-
-
조원진;
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문화재연구소;
(백산학보,
v.0,
2024,
pp.205-237)
-
15
-
金에 파견된 高麗使臣의 사행로와 사행여정
-
박윤미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2,
pp.77-113)
-
16
-
히라바야시 다이코(平林たい子)의 『때리다(殴る)』론 -가부장제도하에 여성의 위상과 폭력 양상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509-522)
-
17
-
금대(金代) 동경(銅鏡)의 회화적 특징과 제작 여건
-
박진경;
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;
(동양미술사학,
v.18,
2024,
pp.41-67)
-
18
-
20세기 초 여성 지식인의 시각으로 본 서울 공간과 그 의미 - 최송설당의 『松雪堂集』을 중심으로
-
강수진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1,
pp.351-377)
-
19
-
鴨淥道를 통해 본 발해사신의 여정
-
윤재운;
대구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0,
2018,
pp.45-79)
-
20.
- 누정연작제영 <息影亭 20詠>연구
- 황민선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9, 20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