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전주장(全州欌) 제작기법과 조형성연구
-
소병진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;
(한국전통문화연구,
v.0,
2022,
pp.297-327)
-
12.
- 朝鮮時代 生活 木家具 硏究
- 노기욱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11 p., 2011
-
13.
- 무형문화재 기록화와 활용방안 연구 : 전남지역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을 중심으로
- 위주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2p, 2007
-
14.
- 두석장의 역할과 제작기술 연구
- 강혜지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3
-
15.
- 조선시대 사방탁자에 표현된 조형관
- 서석민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45장, 2014
-
16.
- Sozialer wandel und administrative verdichtung : der iandliche grundbesitz der augsburger patrizierfamilien bzw. reichsritter rehlinger und imhof wahrend der fruehen neuzeit
- 황대현
-
Universitat Augsburg, 국외박사,
277p., 2002
-
17.
- 조선시대 천연 유성도료 명유(明油)의 전통과 재현
- 장영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83 p, 2024
-
18.
- 근현대 칠기의 제작기법 및 재현 연구
- 전현지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5
-
19
-
한국 전통 목가구의 문화적 함의
-
Lee, Choon Sig;
경인교육대학교;
(大韓工業敎育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,
v.38,
2013,
pp.259-274)
-
20.
- 嘉禮都監儀軌의 記錄을 중심으로 한 敎命궤 재현 제작
- 박선영
-
용인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97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