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48건 중 248건 출력
, 2/25 페이지
-
11
-
우계 성혼의 '상우(尙友)' 지향
-
임준성;
조선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11,
pp.297-332)
-
12.
- 『심청전』의 신성혼신화적 성격 연구
- 최윤자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111장, 2008
-
13
-
우계 성혼(成渾, 1535∼1598)의 자성적(自省的) 삶과 자기 완성의 공부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한국학논집,
v.0,
2022,
pp.5-36)
-
14
-
A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acred Marriage and Fertility Cult
-
Kim, Yeong Seon;
;
(神學展望,
v.2017,
2017,
pp.165-209)
-
15
-
우계 성혼의 퇴율절충론의 철학적 함의 -리기일발설(理氣一發說)의 존재론적 해석
-
김우형;
연세대학교;
(유학연구,
v.31,
2014,
pp.117-139)
-
16
-
우계 성혼과 우계학의 재조명
-
최영성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우계학보,
v.0,
2024,
pp.5-29)
-
17.
- 우계 성혼의 생애와 문집의 편찬간행 및 내용분석
- 성효정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26 p., 2009
-
18
-
우계 성혼의 가정교육
-
진성수;
전북대학교;
(유학연구,
v.47,
2019,
pp.1-26)
-
19
-
우계 성혼의 수양공부론에 대한 재해석
-
박균섭;
경북대학교;
(인격교육,
v.19,
2025,
pp.185-200)
-
20
-
성혼 철학의 정체성: 리기일발설과 경공부론
-
추제협;
계명대학교;
(우계학보,
v.0,
2024,
pp.5-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