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6건 중 116건 출력
, 2/12 페이지
-
11
-
MIT 문화 시각화 프로젝트의 일본 근대사 재현 - 냉전적 사유의 지속 -
-
엄소정;
광주과학기술원 융합교육 및 융합연구센터;
(역사교육,
v.0,
2025,
pp.233-266)
-
12.
- 『동아시아사』 교과서의 근대사(대단원 Ⅳ) 서술 분석 : 『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』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 김석철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3 p., 2019
-
13
-
『湖西史學』과 『역사와 담론』을 통해 본 서양사 연구 40년의 결과와 전망
-
김상엽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61,
2012,
pp.157-191)
-
14
-
한국 신종교 운동으로서 대순진리회
-
데이비드 김;
호주국립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24,
2014,
pp.145-208)
-
15
-
북미지역에 소장된 내한 의료선교사 편지 기록의 현황과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가능성
-
허경진;
한미경;
이혜은;
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전공;
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한국비블리아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,
v.29,
2018,
pp.233-252)
-
16
-
수정본 <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>상의 중국의 근대사 인식 변화
-
반채영;
충북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3,
pp.321-349)
-
17.
- 중국 근대 언론사상가 강유위와 양계초에 관한 연구
- 자오이판
-
청주대학교, 국내석사,
ii, 97장, 2016
-
18.
- 대한제국애국가 연구
- 고헌균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74, 2025
-
19
-
“근대 초극”이라는 물음 - 근대 인식과 종교성을 중심으로
-
김선화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42,
2012,
pp.63-86)
-
20.
- 북한 고등중학교 『세계력사』에 나타난 서술 구조 : 혁명을 중심으로
- 김미연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3 장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