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전쟁의 폐허에서 자라난 젊음과 공민적 삶의 가능성 - 박태순의 장편소설 『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』(1980)에 대하여
-
복도훈;
충남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5,
pp.319-348)
-
12
-
SF, 타자성을 탐구하는 사고실험의 미학: 스타니스와프 렘의 SF『솔라리스』(1961)를 중심으로
-
복도훈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10,
2017,
pp.5-34)
-
13
-
미와 정치: 국토순례의 목가적 서사시―최남선의『금강예찬』,『백두산근참기』를 중심으로
-
복도훈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2,
2005,
pp.37-62)
-
14
-
단 한 명의 남자와 모든 여자: 아마겟돈 이후의 유토피아와 섹슈얼리티 -문윤성 과학소설, 『완전사회』(1967)에 대하여-
-
복도훈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1,
pp.345-373)
-
15
-
Science & Fantasy Fiction of North Korea and the Nomos of Universe ― Focused on the Park Jong Ryul' The Birth(2001)
-
복도훈,;
;
(한국예술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,
v.22,
2018,
pp.301-324)
-
16
-
North Korea and Dystopia―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a ‘Zombie State’
-
복도훈,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4,
2018,
pp.292-320)
-
17
-
The illusion of formation(Bildung): An article on the Bildunsromans of 4.19 generation’s novelists and it’s political unconscious
-
복도훈,;
;
(韓國學論集,
v.51,
2013,
pp.37-70)
-
18
-
대지와 그의 적들 - 칼 슈미트와 마르틴 하이데거의 ‘문학과 정치’에 대하여 -
-
복도훈;
공주교육대학교;
(동서인문학,
v.0,
2011,
pp.93-125)
-
19
-
SF, 타자성을 탐구하는 사고실험의 미학: 스타니스와프 렘의 SF『솔라리스』(1961)를 중심으로
-
복도훈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10,
2017,
pp.5-34)
-
20
-
북한 과학환상소설과 정치적 상상의 도상(icon)으로서의 바다 『바다에서 솟아난 땅』, 『푸른 이삭』, 『두 개의 화살』, 『검은 유전의 안개』를 중심으로
-
복도훈;
한국예술종합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5,
pp.73-100)